SI 기획자가 마주하게 될 문서
요구사항 수집 및 작성 ▶ IA 작성 ▶ 기능정의서 작성 ▶ 정책서 작성 ▶ StoryBoard 작성
지난시간 작성한 요구사항 정의서를 기준으로 IA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전글 ↓ ↓ ↓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1 (with chatGPT)
개발자들은 사이드프로젝트, 토이프로젝트라고 해서 프로젝트외에 개발자들이 만들고 싶은 간단한 서비스들을 종종 만듭니다. 공부도 할 겸 말이죠. 그런 사이드프로젝트로 실제 돈을 버는 케
todaystudying.tistory.com
IA란 Information Architecture 로 단어그대로 정보구조를 나타냅니다.
실제 기획을 하게 되면 기획의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초기단계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작업입니다.
IA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효과적으로 찾아 갈수 있도록 필요한 화면들의 흐름을 시각화 하며, 실무자들이 제작해야 하는 작업물의 전체 틀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또한 IA를 기반으로 메뉴트리, 기능목록 정의서 등의 문서가 도출 될 수 있습니다.
앞서 요구사항을 읽고 화면이 어떻게 나누어져야 하는지 어떻게 진입이 되어야 하는지, 어느 깊이까지 만들어져야 하는지를 고려하여 IA를 작성 합니다.
IA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면ID : 화면 ID는 규칙을 가지고 제작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면ID 생성 규칙은 다음번에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
- Depth 1,2,34
- 화면유형 : Page, Tab , Popup
- 화면설명 : 화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입력합니다. 요구사항에 나왔던 내용들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기입하면 됩니다.
- 요구사항ID : 최초 투입되어 요구사항 부터 받았다면 그 요구사항이 IA에 들어가도록 작성합니다. 이후는 숨김처리 등을 통해 안보이게 하거나 버전을 올리면서 뺄 수도 있습니다.
그외에 변경여부, 변경내역등을 작성하거나,필요한 요소를 붙여 사용 합니다.
아래는 VoC 게시판을 예시로 만든 IA 입니다.
보통 IA 의 1depth가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대메뉴이름이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서 고객이 보게되는 사이트맵이나 전체메뉴 같은 메뉴트리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회차에는 기능 정의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T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기획시 알아두면 유용한 기능명 (0) | 2024.04.14 |
---|---|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3 (기능명세서 작성) (0) | 2024.04.08 |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1 (with chatGPT) (0) | 2024.04.03 |
SI 프로젝트 투입시 기획자가 보게 될 기본 문서 (0) | 2024.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