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더생성후 비주얼스튜디오코드에서 연다
# 터미널
npm init
----> package.json 파일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 package.json : 설치한 라이브러리 목록을 자동으로 기록해주는 파일
# 서버생성 라이브러리 설치
npm install express
# server.js 파일 생성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listen(8000, function(){
console.log('listening on 8000')
});
# 저장후
node server.js
# 포트 에러시
# 윈도우
# 명령프롬프트 혹은 비주얼스튜디오 터미널
> netstat - ano
--> 물고 있는 PID 값 확인 하고 작업관리자에서 작업끝내기 누른다!
아니면 포트 바꾸던지~
# 원하는 주소로 접근하기
app.get('/write', function(request , response){
response.sendFile(__dirname +'/write.html')
});
# 저장후 껏다가 node server.js 실행하기를 반복 ---> 귀찮음
# 노드 서버 재시작 실행 편하게
npm install -g nodemon
이제 파일 변경되면 저장후 브라우져 새로고침하면 반영된다!!
서버시작할때
nodemon server.js
# 갑자기 무슨이유인지 모르겠찌만.. 뭐 mysql 깐다고 삽질을 한 이후에 갑자기 nodemon 이 안됨. 아래처럼 해결함
--> 기존에 잘되던 프로젝트에서도 안되고.
#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기위해 다른폴더에서 npm install -g nodemon 하면 안됨.. 왜그러는지 뭐가 꼬인건지...
# 일단 -g빼고 로컬로 깔고나서
package.json 파일에 아래처럼 쓰고
"scripts": {
"server": "nodemon server.js"
},
터미널에서 사용시
npm run server
이렇게해서 두가지 경우 모두 해결함....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dependecies에도 자동으로 생성이 안되서 수동으로 nodedemon 코드 넣어줌...
"dependencies": {
"express": "^4.18.1",
"mysql": "^2.18.1",
"nodemon": "^2.0.16"
}
# 시종일관 궁금했던 노드서버와 리액트클라이언트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잘 설명해주는것 같아 일단 북마크!
https://velog.io/@nemo/react-server
[React] Node.js + Express로 임시 서버 생성하고 리액트와 연결하기
1)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npx create-react-app my-app2)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cd my-app3) 프로젝트 폴더에서 node 프로젝트 시작 (package.json 생성)npm init4) express 설치npm install express5)
velog.io
https://jrepository.tistory.com/58
[React] 리액트, 노드 연동하기 (프론트, 서버)
React와 nodejs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같이 실행시키고 통신하는 것을 해보겠습니다. 1. 라이브러리 소개 2. 클라이언트, 서버 주요 코드 3. 실행 전 준비 4. 실행 1. 라이브러리 사용한 라이
jrepository.tistory.com
https://singa-korean.tistory.com/46
[React x Node.js] React와 Node.js 연동하는 방법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앞서 Front-end(Client), Back-end(Server) 의 뼈대를 만들기 위해 틀을 만들어야 한다. React의 create-react-app과 Node.js의 미들웨어 'express', 'http-proxy-middleware'를 활용하여 연..
singa-korean.tistory.com
리액트 + 노드Js Express 연동 템플릿 만들기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면서 리액트를 써서 만드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create-react-app을 써서 만들면 바벨과 웹팩이 세팅된 상태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그런데 백엔드 API를 만들기
velog.io
나는 ↓ ↓ ↓ ↓ 동영상으로 따라하기 하니까 에러없이 잘됨
'코딩(개발)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변수 environment variable (0) | 2022.06.21 |
---|---|
Ajax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 (0) | 2022.06.20 |
고유키 생성 (0) | 2022.06.20 |
데이터 쓰기,읽기,수정하기 & ejs (0) | 2022.06.20 |
MongoDB 셋팅하기 / 데이터 입력하기 / IP 추가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