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AI 기초 용어 AI구현을 위해서는 알고리즘, 데이터, GPU (하드웨어) 가 필요하다,그래서 요즘 엔비디아 주가가 난리난거임~(GPU는 병렬 산술계산이 어마어마하게 빠르다고 함)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알게된 용어들도 많지만 요즘 랭체인과 스트림릿등으로 실제 구현 해보면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리해 본다. 기획자도 이정도는 알고 있어야 개발자들과 소통이 가능할테니까~ 인공지능(AI)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 딥러닝 (Deep Learning)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컴퓨터 시스템.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학습하여 모델을 만드는 기술. 여기서 모델이라 함은 우리가 chatGPT 덕분에 자주 듣는 LLM과 같은 것들.. 2024.05.29 NewContents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3 (기능명세서 작성) SI 기획자가 마주하게 될 문서 요구사항 수집 및 작성 ▶ IA 작성 ▶ 기능정의서 작성 ▶ 정책서 작성 ▶ StoryBoard 작성 지난시간 작성한 IA를 기준으로 기능명세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전글 ↓ ↓ ↓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2 (IA 작성) SI 기획자가 마주하게 될 문서 요구사항 수집 및 작성 ▶ IA 작성 ▶ 기능정의서 작성 ▶ 정책서 작성 ▶ StoryBoard 작성 지난시간 작성한 요구사항 정의서를 기준으로 IA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전 todaystudying.tistory.com 기능명세서는 큰프로젝트의 경우 개발자가 작성할 경우도 있지만 기획자가 작성 할 경우도 있습니다. 기획자에게는 StoryBoard 작성 전 전체 기능을 뽑아 봄으로 고객과의 의사소통.. 2024.04.08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2 (IA 작성) SI 기획자가 마주하게 될 문서 요구사항 수집 및 작성 ▶ IA 작성 ▶ 기능정의서 작성 ▶ 정책서 작성 ▶ StoryBoard 작성 지난시간 작성한 요구사항 정의서를 기준으로 IA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전글 ↓ ↓ ↓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1 (with chatGPT) 개발자들은 사이드프로젝트, 토이프로젝트라고 해서 프로젝트외에 개발자들이 만들고 싶은 간단한 서비스들을 종종 만듭니다. 공부도 할 겸 말이죠. 그런 사이드프로젝트로 실제 돈을 버는 케 todaystudying.tistory.com IA란 Information Architecture 로 단어그대로 정보구조를 나타냅니다. 실제 기획을 하게 되면 기획의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초기단계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작.. 2024.04.05 Toy Project로 알아보는 실전 기획 1 (with chatGPT) SI 기획자가 마주하게 될 문서 요구사항 수집 및 작성 ▶ IA 작성 ▶ 기능정의서 작성 ▶ 정책서 작성 ▶ StoryBoard 작성 개발자들은 사이드프로젝트, 토이프로젝트라고 해서 프로젝트외에 개발자들이 만들고 싶은 간단한 서비스들을 종종 만듭니다. 공부도 할 겸 말이죠. 그런 사이드프로젝트로 실제 돈을 버는 케이스도 있어요~. 기획자라고 하지 말라는 법 없죠? 앞서 봤던 프로젝트 투입시 보게 될 문서들을 실전감각 키우는 용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전글 ↓ ↓ ↓ SI 프로젝트 투입시 기획자가 보게 될 기본 문서 웹사이트 구축 프로젝트에 기획자로 투입이 되면 작성해야 할 문서가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RFP가 어쩌구 저쩌구 IA에 작성해 주세요, 기능명세서는 ..... 등등 단위 기획자라면 IA, W.. 2024.04.03 SI 프로젝트 투입시 기획자가 보게 될 기본 문서 웹사이트 구축 프로젝트에 기획자로 투입이 되면 작성해야 할 문서가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RFP가 어쩌구 저쩌구 IA에 작성해 주세요, 기능명세서는 ..... 등등 단위 기획자라면 IA, WireFrame, StoryBoard 정도 이고, 기획 PL로 투입 된다면 더 많은 문서 작성을 요구 받게 되지요. 구축기획자로 투입되기 전 꼭 알아야 하는 문서의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RFP(Request For Proposal) 발주자(고객)가 특정 프로젝트나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주자(개발사)에게 제시하는 문서 → 고객이 전달하는 문서이고 이미 수주한 회사에서 RFP를 기반으로 작성한 제안서가 통과 되어 여러분이 그자리에 있을 겁니다. 기획자가 작성해야 하는 문서는 아니지만 고.. 2024.04.02